명심보감 7. 存心篇 (존심편) (1)
景行錄에云 坐密室을 如通衢하고 馭寸心을 如六馬하면 可免過니라. (경행록에운 좌밀실을 여통구하고 어촌심을 여육마하면 가면과니라.)
경행록에 이르기를 밀실에 앉았어도 마치 네 거리에 앉은 것처럼 여기고 작은 마음 제어하기를 마치 여섯 필의 말을 부리듯 하면 가히 허물을 면할 수 있느니라.
擊壤詩에云 富貴를 如將智力求인대 仲尼도 年少合封侯라 世人은 不解靑天意하고 空使身心半夜愁니라. (격양시에운 부귀를 여장지력구인데 중니도 연소합봉후라 세인은 불해청천의하고 공사신심반야수니라.)
격양시에 이르기를 부귀를 지혜와 힘으로 구할 수 있을진대 공자도 젊은 나이에 마땅히 제후에 봉해졌을 것이다. 세상 사람들은 푸른 하늘의뜻을 알지 못하고 헛되이 몸과 마음으로 하여금 한 밤중까지 근심 하느니라.
范忠宣公이 戒子弟曰 人雖至愚나 責人則明하고 雖有聰 明이나 恕己則昏이니 爾曹는 但當以責人之心으로 責己하 고 恕己之心으로 恕人則不患不到聖賢地位也니라. (범춘선공이 계자제왈 인수지우나 책인칙명하고 수유총명이나 서기칙혼이니 이조는 단당이책 인지심으로 책기하고 서기지심으로 서인즉불환불도성현지위야니라.)
범충선공이 자제를 경계하여 말하기를 사람이 비록 어리석을 지라도 남을 책망하는 데는 밝고 비록 총명함이 있다 해도 자기를 용서하는 데는 어두니 너희들은 마땅히 남을 꾸짖는 마음으로써 자기
<24>
를 꾸짖고 자기를 용서하는 마음으로써 남을 용서한다면 성현의 경지에 이르지 못함을 근심할 것이 없느니라.
子曰 聰明思睿라도 守之以愚하고 功被天下라도 守之以讓하고 勇力振世라도 守之以怯하고 富有四海라도 守之以謙 이니라. (자왈 총명사예라도 수지이우하고 공피천하라도 수지이양하고 용력진세라도 수지이겁하고 부유사해라도 수지이겸이니라.)
공자가 말하기를 총명하고 생각이 뛰어나도 어리석은 체(몸을)지키고 공이 천하를 덮을 만하더라도 겸양으로 지키고 용맹이 세상을 떨칠지라도 겁냄으로써 지키고 부유함이 세상을 차지할 만큼 하더라도 겸손으로써 지켜야 하느니라.
素書에云 薄施厚望者는 不報하고 貴而忘賤子는 不久니라. (소서에운 박시후망자는 불보하고 귀이망천자는 불구니라.)
소서에 이르기를 박하게 베풀고 후하게 바라는 자에게는 보답이 없고 몸이 귀하게 되고 나서 천했던 때를 잊는 자는 오래 가지 못 하느니라.
施恩勿求報하고 與人勿追悔하라. (시은물구보하고 여인물추회하라.)
은혜를 베풀었으면 그 보답을 구하지 말고 남에게 주었거든 후회하지 말라.
孫思邈이曰 膽欲大而心欲小하고 知欲圓而行欲方이니라.
<25>
'청람 > 명심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심보감 8. 戒性篇 (계성편) (1) (0) | 2013.06.18 |
---|---|
명심보감 7. 存心篇 (존심편) (2) (0) | 2013.06.15 |
명심보감 6. 安分篇 (안분편) (0) | 2013.06.05 |
명심보감 5. 正己篇 (정기편) (4) (0) | 2013.06.04 |
명심보감 5. 正己篇 (정기편) (3) (0) | 2013.06.03 |